디발리의 블로그
[티스토리 사용법] 구글 서치콘솔 등록하기, 가져올수없음 확실한 해결 방법 본문
구글 서치콘솔 등록, 이게 뭐죠?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했다면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가 있다.
바로 구글 서치콘솔 등록을 해야하는데 과정을 거쳐야 내 블로그 글이 구글에서 노출이 되기 때문이다.
티스토리는 다음 카카오 기반이라 블로그를 만들자마자 자동으로 다음에서 노출된다.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면 이렇게 보다시피 다음에서만 유입이 되는데
국내 점유율 1위의 네이버와 세계 점유율 1위인 구글에서 내 글이 노출이 되지 않는건 그만큼 방문자가 적다는 결과로 이어진다.
네이버도 따로 등록을 해줘야 하는데 이번에는 구글만 알아보자.
구글 서치콘솔 등록하는 법
구글 웹마스터 도구 (글자를 누르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좌측 하단 파란버튼 [시작하기] 클릭
티스토리의 경우, https 이므로 오른쪽에 본인 블로그 URL을 입력한다.
HTLM 태그 메뉴 탭에서 클릭하고 [복사] 클릭 ※ 아직 하단의 확인을 누르면 안됨
티스토리 블로그 매니저에 들어가
좌측메뉴 [스킨편집] 클릭
우측 상단에 [HTLM 편집] 클릭
<head> 와 </head> 사이에 복사된 글 내용을 붙혀넣기 (5번에 붙혀넣으면 된다는 말이다.)
다시 구글 서치콘솔로 돌아와 [확인] 클릭
그렇게 해주면 기본 등록이 완료되면서 이렇게 표시 될 것이다.
좌측 메뉴 중간에 보면 [Sitemaps] 클릭
sitemaps에 들어오면 사진과 다르게 아무 것도 써있지 않은데
-새 사이트맵 추가에 stemap.xml 을 적고 [제출] 버튼 클릭
-새 사이트맵 추가에 rss 를 적고 [제출] 버튼 클릭
제대로 따라왔다면 위의 사진과 같이 성공이란 글씨가 나오며 구글 서치콘솔 등록은 끝이난다.
이렇게 끝날거면 애초에 이 글을 작성하지도 않았다.
안타깝게도 구글 서치콘솔 등록이 한 번에 성공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은거 같다.
sitemap 이 안되거나 rss 가 안되는 등 가져올수없음 이란 글자가 사람을 짜증나게 한다.
필자의 경우 sitemap.xml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5분 지나니 됐어요, 다음날 됐어요, 이런 방법으로 했어요 등 개인차가 좀 있는데 원인은 모르겠다.
그래도 적으면 1시간, 보통 3~7일 정도 소요하며 끙끙 골머리를 앓는 블로거들이 많았는데
필자는 5시간정도만 고생했으니 이 정도면 아주 빨리 해결한 편이다.
여러가지 방법을 작성할 예정인데 일단 필자가 해결한 방법을 따라가보자!
Sitemap 가져올수없음 확실한 해결 방법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된 내 블로그 속성제거를 해줘야 하는데 이 삭제 메뉴 찾기도 힘들었다.
여러분들은 헷갈리지 않길 바란다.
좌측 메뉴를 쭉 내리고 [설정] 클릭
우측 하단에 보면 [속성 제거] 클릭 하면 구글 서치콘솔에서 계정이 삭제되고
구글 서치콘솔 초반 과정처럼 다시 블로그 URL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https://내블로그주소.tistory.com/sitemap.xml 을 먼저 입력해준다.
응? 아무 반응이 없는거 같다.
당황하지 말고 아까와 같은 똑같은 과정을 거치면 된다.
내블로그 URL 입력 -> HTLM 복사 -> 티스토리 스킨편집 -> 복사한 HTLM 붙혀넣기 -> 구글서치콘솔 확인
다시 맨 처음 과정 그대로 따라가주면 된다. (모르겠다면 화면을 다시 올려서 따라하자)
아니, 그럼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편집에서 넣은 HTLM은 어떻게 초기화 하는데??
왼쪽메뉴 [스킨 변경]을 눌러 다른 스킨을 적용해주면 HTLM 도 초기화 된다.
이후 다시 원하는 스킨으로 설정해주면 된다.
그렇게 다 마치고 구글 서치콘솔 메뉴 sitemaps 들어가
아까와 같이 sitemap.xml 과 rss를 제출하면 끝!!
필자는 이 방법으로 sitemap.xml 가져올수없음 오류를 해결했다.
필자는 이 방법으로 확실히 해결해서 다른 분들도 될거라 믿기는 한다만
여러가지 방법들을 따라 했으나 되지 않았던 걸 생각해보면 몇몇 분들은 해결하지 못하지 않았을까 싶어
다른 해결법들도 적어본다.
다른 방법으로 가져올수없음 해결해보자
가장 따라하기 가장 쉬운 방법으로는
/ 를 하나 더 넣고 입력하는 법이다. (예: 이전에 rss 로 했다면 /rss로 입력)
아마 처음 블로그 URL을 넣을 때, / 를 빼고 입력하는 분들도 있어 이러한 방법이 있는듯 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플로그인을 설치해주는 방법이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에 들어가 좌측 메뉴에서 [플러그인] 클릭
[구글 서치콘솔] 클릭을 해주자.
[계정 연결하기]를 클릭
[구글 계정을 로그인] 후 체크가 필요한 곳은 모두 허용을 눌러준다.
마지막으로 사진 우측하단의 [적용] 클릭
마지막으로 구글 서치콘솔에 들어가서 sitemap.xml과 rss를 입력해주면 끝이다.
마치며
이 방법을 따라왔다면 성공이라는 글씨가 떴을 것이다.
이렇게 연결을 했다고 구글에 곧바로 노출되는건 아니고 시간이 좀 지나야 적용 되는듯 한데
역시 좋은 글을 꾸준히 쓰는게 비결이 아닐까 싶다.
필자도 티스토리 하꼬라 언제쯤 구글 노출이 될까 싶지만 블로그가 0명에서 조금이나마 성장하는 모습을 보면 재미가 있다.
다들 즐거운 블로그 라이프가 되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
'티스토리 블로그 > 티스토리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이렇게 해서 구글애드센스를 한 번에 통과했다. (2) | 2023.01.10 |
---|---|
구글 애드센스, 애드핏 목록상단&목록하단 광고 설정 (블로그 스킨 #2) (3) | 2023.01.03 |
티스토리 구글 서치콘솔 색인 생성되지 않음 원인과 완벽한 해결방법 (2) | 2023.01.02 |
[티스토리 사용법]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하기 (3) | 2022.12.31 |
삼성 갤럭시 GIF 만들기, 기본 앱으로 간단하게! (0) | 2022.12.13 |